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생각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 나는 넉넉해 진 거니?

2006년 국민 소득 2만 달러를 넘어선지 12년 만인 지난해.

1인당 국민 총소득(GNI)은 3만 1349달러 (3449만원)였는데

처음으로 국민 소득 3만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곧 선진국의 관문을 통과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지표인 셈이다.

1인당 국민 총소득은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등 각종 소득을 모두 합친 것이고

이는 국민의 소득 수준을 파악하는 데 주로 쓴다.

국가 경제 규모를 파악하는 데 주로 쓰는 국내총생산(GDP)와는 구별된다.

국민 총소득이 3만 달러가 되어도 체감 소득 수준이 낮게 느껴지는 것은

국민소득 중에는 가계와 기업, 정부 모두의 몫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경제 주체가 지난해 100원을 벌었다면

그중 가계의 몫은 56원이고 나머지는 기업과 정부가 벌었다는 뜻이된다.

세금이 늘어나고 은행 대출 이자가 늘어나면서 서민들의 소득은 오히려 줄은 것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하위 20%인 저소득층의 월평균 소득이 18% 가까이 줄어든 반면

상위 20%인 고소득층의 소득은 10% 이상 늘어나면서

고소득층 소득이 저소득층 소득의 5.47배까지 커졌다.

국민총소득이 늘어난데에는 달러 대비 원화의 환율이 하락,

상대적으로 원화가 상승하면서 달러로 환산한 우리나라의 소득이 증가했다는 측면도 있다고 한다.

어쨌든 지표상으로 국민총소득이 늘어났다고 하여도

많은 이들이 체감하는 삶의 질이나 안정성의 수준은 하락하는 것처럼 여겨진다.

국민총소득이 4만 달러가 되기까지는 12년보다 더 많이 걸릴지도 모른다고 하는데...

사실 하루 하루를 생활하는 국민들에게 그런 것은 중요한 게 아니다.

국민총소득이 늘어났다는 이야기만큼 내 삶의 질이 향상되는 듯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면,

그런 소식쯤은 우리와는 전혀 상관없는 남의 나라 이야기로만 들릴 뿐일테니까.

무섭게 오르는 밥값과 생필품 가격들을 보면

직장인들이 도시락 싸서 다니는 것이나,

청년들이 편의점 도시락과 컵밥으로 한끼를 때우는 것 역시 수긍이 간다.

현실의 국민들 생활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면 국민소득 4만 달러가 된다고 한들 무슨 소용이랴.

소득 양극화만 극심해지며 상대적 박탈감만을 안길 뿐. 아니겠는가.